-
2023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어떻게 이루어졌는가?공립유치원 이야기 2023. 7. 31. 17:30반응형
유치원 교사로 임용되고 어느새 1급 정교사 자격연수를 받게 되었다. 대학의 유아교육과를 졸업하면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2급)을 받는다. 그리고 3~5년 유치원 교사로 경력을 쌓으면 유치원 1급 정교사 연수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게된다.
교사자격기준(유아교육법 제22조 제2항 관련)
초임교사에서 중견교사로, 유아교육법(교사의 자격) 불과 10년 전만 했어도 1정 자격증을 획득하려면 6~8년 정도의 경력이 쌓여야 연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한다. 최근에는 운이 좋으면 만 3년의 경력으로도 자격을 얻는 경우도 있다. 필자는 만 4.5년의 경력을 가지고 연수에 참여하게 되었다. 유치원교사로서 지금까지의 노력과 성장을 1정 자격증으로 치환시켜주는 느낌이 드는데, 자격이 발급됨과 동시에 얻게되는 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1정 자격증을 가지고 보직(부장교사)을 맡았을 때 승진에 도움이 되는 가산점(1년에 0.5점)을 얻을 수 있다. 둘째, 1정 자격증을 얻은 달부터 1호봉이 올라간다.
1급 정교사 자격연수의 과정
1. 사전연수
- 전반적으로 자격연수를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알려주는 오리엔테이션 시간이다. 오리엔테이션 시간도 자격연수 시간에 포함된다는 점이 흥미롭다.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연수이므로 불가피하게 참여가 어려울 수 있다. 연수 일정이 잡힌 상황에서 사전에 계획한 일정과 연수 시간이 겹친다면 연수 내용 중 일부는 참여하지 않아도 괜찮다. 이수 기준은 100시간 중 90시간 이상 참여이다.
2. 실행학습
- 실행학습은 분임별로 나뉘어 연수가 이루어진다. 분임을 나누는 기준은 전반기, 하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2023년 전반기에는 지역별로 분임을 구성했다. 분임별로 인원은 10~12명 사이로 구성된다. 분임을 이끌어 줄 멘토선생님이 존재한다. 멘토선생님과 분임원들은 6회에 걸쳐 비대면(zoom 활용) 또는 대면으로 만남을 가진다. 자율주제를 두 개 선택하고 주제에 대하여 심도있게 성찰한다.
- 선택한 자율주제: 행복한 학급운영, 환경교육
3. 원격연수
- 원격연수는 18차시로 이루어지는데, 연수원 홈페이지에서 강의를 수강한다. 기간이 여유있는 편이지만 학기 말 업무가 많은 시기여서 필자는 마지막 주에 급하게 연수를 듣게 되었다.
4. 집중연수
- 방학이 시작될 무렵 집중연수가 시작된다. 집중연수도 실행학습과 마찬가지로 비대면 또는 대면으로 연수가 이루어진다. 작년 연수과정과 비교해보면 대면연수의 비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가 만든 비대면 문화가 점차 사라지는 느낌이 든다. 연수원에서 나누어 준 집중연수 스케쥴(비대면 스케쥴 제외)을 공유한다.
보고서 작성
연수만 듣고 자격증을 얻을 수 있다면 참 좋을텐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몇 가지 보고서를 작성해야하는데 보고서 유형과 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격연수의 평가 체계는 절대평가이다. 1급 정교사 자격을 취득하는 데 지나친 경쟁을 유발했던 과거와는 달리 동료교사와 협력과 존중을 기반으로 소통하며 교사로서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을 갖는다.
새로운 도전! 행복을 여는 교사로 함께 성장해요.
반응형'공립유치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공립유치원교사가 교과전담교사 맡기를 꺼려하는 이유 (3) 2024.01.27 4세대 나이스 EVPN 접속 안될 때 해결방법 (1) 2023.08.09 저출생과 공립유치원교사, 그리고 유보통합 (1) 2023.01.26 2022년 12월 코로나19에 걸린 후기 (1) 2022.12.18 쇼미더머니11 이영지를 보며 유치원교사로서 든 생각 (1) 202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