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생과 공립유치원교사, 그리고 유보통합공립유치원 이야기 2023. 1. 26. 16:43반응형
유치원은 유아교육기관이지만
가정의 보육을 보조한다.
특히 맞벌이 가정은
일정 시간동안
자녀를 유치원에 맡기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그런데 2020년 초부터 창궐한 코로나19로
교육문화는 대면 중심에서
비대면 중심으로 바뀌게 되었다.
물론 맞벌이 가정을 대상으로
긴급돌봄을 운영하였지만
수요자 측면에서
그리고 보육의 질적인 측면에서
충분하지는 않았다고 판단한다.
유치원은
나름의 이유를 가지고
여러 모로 노력하였지만
전대미문의 코로나19 사태는
인력으로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2012-2021 합계출산율, e-나라지표 2022년 작년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던
합계출산율 25만명을
하회할 것으로 여겨지는 이 때
공립유치원교사에게 느껴지는
출산율 감소 문제는
현재, 현실의 문제이다.
가장 체감되는 부분은
유아모집이 쉽지가 않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
2019년에 태어난 유아들이
2023년에 입학한다.
합계출산율 30만명대였던 시기에
태어났던 아이들이 이 정도인데
내년, 내후년에는 어떨지
감이 안잡힌다.
영유아 저출생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때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이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교육부 소속의 유치원
보건복지부 소속의 어린이집을 통합하는 것
두 기관으로 양분된 예산을
하나로 합쳐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유아 1인당 배분되는
예산의 양과 질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이 짧은 문장 속에 포함된 내용과
세부사항이 어마어마하고,
서로 대립된 의견차를 좁히는 데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비효율성에서 효율성으로의
방향 전환은 동의하는 바이다.
대한민국의 저출생 현상은
현존하는 중대한 문제이며
유보통합은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2023년은 교육개혁 원년... 4대 개혁분야, 10대 핵심정책 통해 교육개혁 추진”, 조선에듀, 백승구 핵심과제 10가지를 살펴보면
저출생과 이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정책들이다.
대한민국의 청년들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도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사회
가정맞춤 교육개혁에
교육공무원으로서
유치원교사로서
어떤 노력을 해야할 지
고민해야 할 때이다.
반응형'공립유치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세대 나이스 EVPN 접속 안될 때 해결방법 (1) 2023.08.09 2023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1) 2023.07.31 2022년 12월 코로나19에 걸린 후기 (1) 2022.12.18 쇼미더머니11 이영지를 보며 유치원교사로서 든 생각 (1) 2022.11.13 교과전담교사와 공립단설유치원 (1)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