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낸시 펠로시는 왜 대만으로 향할까?재테크 이야기 2022. 8. 2. 16:50반응형
미국 역사상 최초의 여성 하원의장이며 유일한 여성 의장인 낸시 펠로시가 대만에 방문할 예정이라고 한다. 민주당을 대표하는 의원이 중국과 바이든의 반대에도 대만으로 가야하는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은 펠로시의 독단적인 결정에 한 발 물러서는데, 공식적으로 펠로시 하원의장의 잠재적 대만 방문이 미국 외교 정책의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공식적으로 강조하였다. (Biden administration officials are warning China not to take escalatory actions amid House Speaker Nancy Pelosi's prospective trip to Taiwan, emphasizing that the potential visit would not mark a shift in American foreign policy.)
바이든이 펠로시의 결정에 거리를 둘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바이든이 처한 경제적, 정치적 딜레마적 상황 때문이다.
- 미국의 좋지 않은 경제 지표들과 경기침체: 11월 미국 선거가 있음에도 경제적 지표는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고점을 돌파하였고, 미국 국내총생산은 경기침체를 가리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든은 경기침체를 극도로 부인하고 있지만.. 미국인들의 바이든 지지율은 심각한 수준이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출처: investing.com 미국 국내총생산(GDP), 출처: investing.com - 미국에게 필요한 것은 중국의 유통망: 미국이 chip4 동맹(중국을 제외한 미국, 한국, 일본, 대만의 반도체 동맹)으로 중국을 고립시키려고 하고 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의 꽉막힌 유통망 문제와 치솟는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한 방안 중 한 가지는 중국의 유통망을 활용하는 것이다. 중국과의 딜레마적 상황에서 바이든의 정치적 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022년 07월 미국 기준금리 0.75%P 상승, 연준 파월 의장 연설문, 그리고 경기침체
2022.07. 미국 기준금리 0.75%P 상승 한국 시간으로 2022.07.28.(목) 새벽 3시 30분 세계의 시선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이라 일컫음) 파월 의장의 입으로 쏠린다. 놀랍게도 미국 기준금리의 상
kindergarten7010.tistory.com
바이든의 입장에서 본다면, 같은 편인줄 알았던 여당의 낸시 펠로시의 결정이 아쉬울 따름이다. 중국과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며 대만에 대한 경고를 어느정도 수용하고 있던 바이든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에게 불리할 수도 있는 결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낸시 펠로시는 왜 대만으로 향하고 있을까?
- 바이든의 리더쉽을 신뢰하지 않는 민주당: 11월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에서 바이든을 더이상 신뢰하지 못하는 여론이 형성되지 않았을까 싶다. 대통형이 미국 시민에게 민심을 잃은 상황에서 새로운 인물을 대리할 가능성이 있다.
- 중국을 지속적으로 비판해 온 낸시 플로시: 낸시 플로시는 중국을 꾸준히 비판해 온 인물로 유명하다. 미국 정치 서열 3위의 자리에 위치한 인물이 '대만'을 방문한다고 의사를 표명한 것 자체에서 '의도'를 읽을 수 있다.
미국-대만 공식 교류를 위협하는 낸시 플로시의 대만 방문 의사 표현은 중국의 입장에서 선을 넘는 발언이었다. 낸시 플로시가 대만으로 향하는 비행기를 격추시킨다는 등 중국 언론 내 표현에서 중국인의 정서를 파악할 수 있다. 낸시 펠로시가 외부적 요인을 뒤로한 채 대만으로 향할 수 있을지 지켜보자. 더불어, 이에 따른 결과로 좋은 흐름을 보이던 미국 주식의 방향성을 예측하는 것도 재밌는 부분이 될 것이다.
반응형'재테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침체에 대비한 9월 오일 증산 뉴스 (0) 2022.08.04 2차전지 중국기업 닝더스다이(CATL)와 비야디(BYD)에 투자하는 법: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 / Amplify Lithium & Battery Technology ETF(BATT) (1) 2022.08.03 K배터리 회사(LG 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SK온), 삼성SDI)의 미래 성장성과 한계점 (1) 2022.08.02 2022년 07월 미국 기준금리 0.75%P 상승, 연준 파월 의장 연설문, 그리고 경기침체 (1) 2022.08.02 경기침체 시대, 미국 채권 ETF(IEF / TLT)에 투자해보는 것은 어떨까? (1) 2022.07.05